중국판 AI 딥시크는 충격과 공포

우리가 설 연휴를 즐기는 동안 중국이 자체 개발한 AI 딥시크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저 또한 발표 직후 딥시크를 직접 사용해보고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서 큰 위기감을 느꼈습니다. 중국의 AI 기술은 어디까지 올라온 것일까요?

 

1. 딥시크 성능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딥시크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딥시크의 AI가 우리 AI보다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하다. 미국이 경쟁에 집중해야 할 것"  실제 딥시크는 수학경시대회 테스트와 코딩 라이브벤치 평가에서 챗 GPT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오픈소스로 공개된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이 홍콩 연구진에 의해 완료됨에 따라 성능은 사실상 인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제제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엔비디아 AI 플랫폼을 활용해 딥시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왜 엔비디아의 주가는 폭락했을까요?

 

2. 딥시크 개발비용

미국은 최신사양의 AI 반도체를 중국에게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에 출시된 A100은 중국에 판매하지 않았지만 저사양인 A800은 중국에게 판매를 허용했습니다. 최근 A100보다 7배 이상 성능이 강회되어 출시된 H100 역시 중국에게 판매하지 않았지만 중국 판매용으로 사양을 낮춘 H800은 판매가 되었습니다.

 

중국은 미국 제제로 H100 물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었지만 우회 수입을 통해 일정 물량을 확보하고 H800 기반으로 딥시크를 개발했다는 겁니다. 딥시크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 개발비용은 겨우 80억에 불과했죠. 저는 중국의 보고서는 100% 신뢰하지 않기에 생략된 개발비용이 많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면서도 타 경쟁사들이 8천억 ~1조원을 투입한것 대비 너무 적은 금액이 발표되어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시장 역시 딥시크의 저렴한 개발비용에 매우 놀랐을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반응으로 AI 반도체 메이커인 엔비디아의 주가가 폭락한 것입니다. 큰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도 챗 GPT를 넘어설 수 있다는 시장의 물음표와 느낌표가 엔비디아의 이익 성장 기대치에 균열을 만든 것이죠. 

 

3. 중국 AI의 무서움

중국은 미국의 스펙다운 견제를 결과적으로 이겨냈습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엔비디아가 중국을 위한 스펙다운 상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주며 지원한 것도 큰 도움이 되었겠죠. 

 

중국의 무서움은 이제 시작입니다. AI 성능개선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핵심인데 이걸 가장 잘 해낼 수 있는 국가가 바로 중국정부입니다. 중국은 개인정보보호 따위는 아무 관심도 없기 때문에 14억이 넘는 인구에서 나오는 방대한 데이터와 전 세계 사용자들로부터 얻어낸 정보로 무자비한 성능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압도적으로 빠르게 딥시크 성능이 개선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중국의 정보는 중앙집중식으로 중국정부가 38조원을 들여 만든 국가데이터국에서 관리합니다. 즉 사용자의 정보는 중국 정부에 귀속될 것이고 향후 딥시크가 전 세계에 보편화되면 중국 정부가 딥시크 답변에 개입해 사용자들의 사고와 생각을 침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같은 시간 AI 리더인 미국은 개인정보보호법이란 장애물을 넘어가며 더디게 AI 성능 개선을 이어나가고 있죠.

 

개인의 자유나 권리가 중요하지 않은 일당 독재 국가의 독주를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4. AI 소프트웨어

 

시장은 늘 양면성을 보여줍니다. 독주하던 엔비디아가 꺾이는 대신 AI 소프트웨어 기업은 과도한 투자비용에 대한 우려 완화로 주가가 괜찮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죠. 작년 AI 수혜주로 판단하고 투자하고 있는 팔란티어도 흐름이 좋습니다. 물론 딥시크와 전면적인 대결구도가 형성된 챗 GPT 투자사인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흐름은 그닥 좋지 않네요.

 

5. 마무리

중국이 디스플레이 시장을 완벽하게 장악하고 이제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시장 장악을 위한 당시 중국의 행보를 보면 타 국가 기업의 회사를 인수해서 기술을 약탈하고 껍데기는 버리는 방식이었죠. 당시 중국에 희생된 국가가 대한민국이었습니다.

 

중국은 이미 레거시 반도체 부문에서도 설립 후 7년만에 DDR5와 HBM2 개발에 성공하며 대한민국을 위협하고 있고 AI 부문에서도 인력 총 동원과 독재국가의 강점을 활용하여 미국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런 경쟁구도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우리는 위 과정속에서 사양되는 산업이 아닌 성장하는 산업에 투자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키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제가 여러분들 옆에서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최신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